밥줄의 역사를 독특하게 풀어낸 연극 <줄> 시공간을 넘나들며 그려 보이는 인간의 욕망! 4월 9일부터 20일까지 대학로 ‘공간 아울’에서 공연
페이지 정보
본문
어떤 줄을 잡아야 성공을 할까? 살면서 때때로 이런 생각을 한 번쯤 해봤을 것이다. 무한경쟁의 현실 속에서 도전과 좌절을 반복한 사람이라면 더 그러할 터. 성공이라는 사다리에 오르기 위해 편법을 쓰고, 그럴수록 세상은 권모술수가 횡행한다. 연극 <줄>(최해주 작/김도형 연출)은 이런 세상을 블랙 코미디로 보여준다.

극단 시절인연 프로젝트(대표 김도형)가 2022년 낭독극으로 선보이며 독특한 내용으로 화제를 불러일으킨 연극 <줄>이 마침내 무대에 오른다. 국내 창작 초연으로 4월 9일부터 20일까지 대학로 ‘공간 아울’에서 공연한다.
연극 <줄>은 비바람이 퍼붓던 어느 날 밤 태릉의 문정왕후 시신이 사라지면서 시작한다. 태릉을 관리하는 ‘조선왕릉중부지구관리소’는 이 사건으로 발칵 뒤집히고, 사건을 해결하면서도 각자의 밥줄을 지킬 수 있는 묘수를 찾아보지만 뾰족한 수는 떠오르지 않고 시간만 흐른다. 이 과정에서 직원들은 서로 살기 위해 줄을 만들고 잡는다. 재미있는 건 하룻밤 사이에 일어난 이 사건 속에서 과거의 문정왕후와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소환한다는 것이다. 1545년 명종 즉위년에 왕실의 외척인 대윤과 소윤의 반목으로 일어난 을사사화는 12세에 불과한 명종의 모후 문정왕후가 수렴정치를 하면서 소윤파인 윤원형이 정권을 잡으며 하루아침에 대윤파를 몰락시킨 사건이다.
태릉에서 사라진 문정왕후와 윤원형 등 역사 속 인물들이 조선왕릉중부지구관리소에 나타나 살아남기 위해 밥줄을 잡으려는 현대인들과 절묘하게 어우러지며 풀어내는 이 연극은 그래서 ‘팩션’이다. 팩션은 ‘사실’을 뜻하는 ‘fact’와 허구를 뜻하는 ‘fiction’의 합성어로, 역사적 사실에 허구적 상상력을 더한 극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연극 <줄>은 상상이 허구로만 머물러 있지 않다는 걸 보여준다. 김도형 연출은 “이 연극은 서로 좋은 줄을 잡으려는 사람들, 밥줄을 둘러싼 욕망, 그 누구도 줄에서 자유롭지 못한 인간 군상을 드러내면서 역사는 생사를 건 ‘밥줄의 역사’이며, 그 역사는 지금도 현재진행형임을 주지시킨다. <줄>은 단순한 팩션이 아니라 우리의 역사와 현실의 삶의 교차를 통해 나를 돌아보고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는 의미 있는 연극”이라고 말한다.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은 결국 잘 먹고 잘사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대의와 명분, 이념과 철학, 정의와 도덕이란 가치 속에서 갈등하게 된다. 이러한 인간적인 고민과 갈등은 현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역사 속 수많은 사건들이 이를 증명한다. 이렇듯 연극 <줄>은 유사 이래 반복된 생사를 건 밥줄의 역사, 그 역사는 현재까지 이어져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과거와 현재, 시공간을 넘나들며 인간의 욕망을 그려 보인다.
나영균 기자 siss4779@nate.com
<저작권자 © 한국사진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